fnctId=sbjMng,fnctNo=43 재료역학 Mechanics of Materials 재료역학은 공학에 있어서 넓은 분야에 걸쳐 매우 중요한 기초과목일 뿐 아니라, 이 지식은 설계와 직결되어 있으므로 현장에서도 이용도가 높은 학문이다. 여러 가지 종류의 하중을 받고 있는 고체의 거동을 취급하는 응용역학의 한 분야로서 ʻ재료의 강도ʼ, ʻ변형성 물체의 역학ʼ등과 같은 여러 가지 이름으로 알려져 있는 연구분야이다. 따라서 본 과목에서 고찰하는 고체란 축 방향의 하중을 받는 봉,축,보 및 기둥을 포함하는 동시에 이들 요소의 결합체인 구조물도 포함한다. 보통 해석의 목적은 하중에 의하여 생기는 응력, 변형률 및 변형을 결정하는 것이며 만약 파괴하중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하중에 대하여 크기를 구할 수 있다면 그 물체의 기계적 거동에 대한 완전한 상태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열역학 Thermodynamics 급속한 과학문명의 발달로 인하여 인류의 생존에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인 열에너지의 소비가 급속하게 증대되어 보다 효과적인 에너지 자원의 사용이 필요하다. 열역학은 이와 같은 열에너지를 체계적으로 다루는 학문분야로서 열, 일 및 물질의 상태를 포함하여 이들 상호간의 에너지 변환을 다루므로 기계공학, 자동차공학 뿐만 아니라 공학을 공부하는 사람은 누구나 그 원리와 열역학적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강의에서는 이러한 목적에 부응하기 위하여 열역학의 기초 이론과 이를 이용하여 가스사이클, 냉동사이클, 습공기 등 응용분야에서 이론적 해석과 아울러 실용적인 응용이 가능하도록 강의를 하고자 한다. 유체역학 Fluid Mechanics 유체역학은 정지상태 혹은 운동상태의 유체성질이나 그에 수반되어 유체가 고체 경계면이나 다른 인접 유체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는 학문이다. 본 강의에서는 유체운동의 기본방정식인 운동량 방정식을 포함한 유체운동의 기본 개념들을 학습한다. 기계재료실무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신소재 개발과 이용 및 응용이 중요한 위치에서 기계재료는 자동차를 비롯한 각종 기계를 구성하는 재료와 기계를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재료의 종류와 그들의 특성, 평가 방법에 대하여 이해함으로써 기계설계, 제조 및 수리시에 적정 재료의 선정 및 취급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교과에서는 기계재료의 개요, 철강재료의 열처리, 철강재료, 비철금속재료, 비금속재료, 신소재 등의 내용을 학습하기로 한다. 기계도면해독실습 생산활동에서 상호 의사 전달은 도면을 통해 명확하게 되는데, 따라서 이를 작성하고 해석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규약과 기호 또는 표현 방법에 대한 내용을 알아야 된다. 이 과목에서는 ISO 및 KS 제도통칙을 기반으로 하여 투상, 치수, 표면처리, 공차론 등의 기초 지식을 익힌 후에 나사, 기어 등의 기계요소의 제도 방법과 기계재료의 적용에 대한 내용을 학습하는데 목적이 있다. 디지털전기전자실습 Introduction to Electric and Electronic Engineering 생산성이 재고된 기계를 창안 설계하기 위한 기본 과목으로 전기 및 전자공학의 전반적인 기초사항을 다루는 학문으로 전기와 자기, 회로이론, 전기기기, 계측, 전기응용과 반도체소자 및 전기회로 등을 다룬다. 기계가공법 Manufacturing Process 기계 절삭가공의 기본인 선반, 밀링, 구멍가공, 연삭 등 각종 절삭가공의 가공원리와 사용되는 공작기계의 종류와 각종 부속장치 및 가공방법의 적용범위와 장단점을 중점적으로 강의한다. 또한 복잡한 형상이나 난삭재 가공에 사용되고 있는 특수 가공기술에 대해서 강의하고 현장에서의 실제 가공사례를 소개하여 현장 적응력을 높이는데 중점을 둔다. 공업역학 Statics and Dynamics 역학의 기본이 되는 힘과 평형의 원리 및 벡터, 분포력, 평형, 마찰, 관성 모멘트 등 평면 및 공간에서의 기본원리를 잘 이해시켜 문제 해석에 응용할 수 있도록 강의한다. 유체기계 Fluid Machinery 기계공업 분야의 제품제조와 운송과정에 있어서 유체기계의 이용이 그 폭과 깊이가 증대함으로써 각종 기술분야에서 유체역학적 기본이론을 이용하여 각종 펌프, 수차 및 공기기계 부분을 광범위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강의함을 목적으로 한다. 기계설계실무 나사,키,리벳,용접 이음에 대한 결합용 요소, 축,베어링,축이음에 대한 축계요소, 마찰차, 기어, 벨트, 체인 등의 동력 전달요소 그리고 브레이크, 스프링 등의 운동제어 요소에 대한 기계요소의 선정 및 강도, 강성설계에 대하여 주입식, 암기식 교육을 탈피하여 요소의 동력전달 메커니즘을 근간으로 하는 기본원리를 이해하도록 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학습하도록 한다. KS규격의 이해와 활용법을 습득하도록 하며, 인터넷을 통한 기계요소의 다양한 활용사례를 접하도록 하여, 산업현장에서 실무적인 업무에 곧바로 활용할 수 있는 설계지식을 갖추도록 강의한다. 열동력공학 Heat Power Engineering 본 과목은 내연기관이 어떻게 작동하는가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자료를 학생에게 제공하고 있다. 과목에서 습득하게 되는 내용은 내연기관에 관한 대부분의 기초를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왕복기관에 중점을 두고 있다. 즉, 4행정과 2행정 사이클로 구동되는 전기 점화 기관과 압축 착화 기관을 모두 다루며, 크기에서는 소형 항공기 기관부터 대형 선박 기관까지 다루고 있다. 금형설계 산업체의 금형 관련 직무를 원활히 수행하는데 필요한 금형의 기초기술을 교육하고 전문가로서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각종 금형의 구조 및 작동 원리를 교육하고, 금형제작에 사용되는 가공법에 대해서 교육한다. 설비진단 Machine fault analysis 플랜트 내에서 존재하는 수많은 회전기계(모터 및 터빈, 엔진 유공압 등으로 구동하는 기계 조합)들 결함을 진단하고 원인을 해결하여 수명을 증진시키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고, 이러한 설비를 측정하고 진단하는 기술을 목적에 맞게 강의하고자 한다. 공조냉동공학 Refrigeration Engineering 냉동기술과 공기조화의 활용분야는 인간의 쾌적한 환경 및 산업의 여러분야에 걸쳐 날로 확대되어가고 있다. 본교과목에서는 냉동을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원리들의 소개와 더불어 널리 채택되고 있는 몇가지 냉동시스템들의 구조 및 이론적해석, 공기조화설계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전문적 지식을 습득함에 중점을 둔다. 산업안전관리 Industrial Safety Management 산업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산업재해의 발생빈도와 재해의 규모가 커지는 현실에 인류복지 향상을 위한 생산활동을 통해 안전관리 및 안전기술을 습득하여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안전관리자로서 지식과 기술을 고루 갖추게 한다. 스마트팩토리개론 Creative Engineering 최근의 설계 추세는 기계설계 과정에서 여러 가지 적절한 이론을 도입하는 더욱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경향을 가진다. 산업체에서 행해지고 있는 새로운 설계의 경향은 설계에 필요한 모든 좋은 요소들 즉, 여러 가지 기교들, 과학, 엔지니어링, 실험, 독창성 등등이 설계과정 전반에 걸쳐 잘 혼합되어야 한다. 창의공학에서는 공학적인 지식과 각 개인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설계와 제품개발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법 등을 탐구한다. 기계기구실습 Mechanism Design Practice 기계를 처음 접하는 학생들에게 기계 작동원리의 이해와 다양한 기구장치들의 활용사례를 접하도록 하여, 기계 분야 엔지니어링 기초지식의 배양과 기계를 구성하는 기구장치를 고안할 수 있는 창의능력의 기초를 습득하도록 한다. 기계조립실습 Machine Fitting Practice 범용공작기계, 자동화공작기계, 수공구 등을 이용하여 절삭가공을 실습하며, 가공된 제품을 설계도면의 공차에 맞게 가공되었는지 정밀 측정하여 제품의 품질관리 하는 방법을 학습하고, 완성된 제품을 조립하고, 제품의 공정설계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유공압실습Fluid Power Systems 자동화 추세에 따라 유공압 기계가 거의 모든 산업현장에서 이용되고 있다. 본 기계과에서도 유공압실습을 통한 유압 및 공압을 제어하는 방법 습득하고, 유압, 공압시스템의 기본구성과 요소기계들을 실무에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용접실습 Welding Practice 부재에 따라서 다양한 용접 기능을 익히고, 용접의 원리, 특징, 개념, 종류 등을 알 수 있으며, 용접설계와 시공, 용접의 시험과 검사 방법에 대하여 학습할 수 있다. CAD실습Computer Aided Geometric Modeling CAD란 ʻComputer Aided Designʼ또는ʻComputer Aided Draftingʼ의 약어로서 종전의 설계 작업시 이용하던 연필, 컴퍼스, T자 등을 대신하여 컴퓨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니터, 디지타이저, 플로터 등과 같은 입출력 장치를 사용하여 최적의 설계, 분석, 수정 등을 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CAD의 응용 분야는 기계설계에서부터 군사, 과학분야인 모의실험에 이르기까지 매우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도면의 정밀도 향상, 생산성 향상 등을 포함한 설계업무 지원시스템의 효과를 창출한다. 본 실습과목에서 사용되는 CAD는 AutoCAD, UG, SolidWorks를 사용한다. 3D 모델링실습3D Modeling Practice 제품의 설계와 제조공정에 대하여 컴퓨터를 활용하는 기술을 습득하고 3차원 그래픽을 이용하여 설계기법을 학습하고, 제품의 개발 및 생산 공정에서도 프로그램을 창의적으로 활용하여, 자동화라인의 합리적인 생산성 향상을 추구하는 학습을 한다. CNC가공실습CNC Practice NC장치는 공작기계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기계시스템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실습에서는 NC의 기본 작동원리, NC코드의 작성 및 CAM S/W의 사용방법을 습득하고 CNC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모의가공을 실시한다. NC선반과 머시닝센터의 기본 조작법을 습득하고 간단한 제품을 대상으로 NC가공을 실시한다. 열공학실험 Heat Engineering Laboratory 열역학의 원리를 이용한 기계장치를 실험학습을 통해 직접 다루면서 열공학의 기본요소인 연소현상, 열효율 및 열전달 등을 이해한다. 이를 위한 실험내용으로 실제 차량에 사용되는 가솔린 및 디젤엔진을 작동시키면서 출력과 열효율 등을 계산하고, 실무에서 많이 사용되는 냉동기 및 공기조화 제어의 적용기술을 다룬다. 또한 점도,증발,인화점 측정실험을 통해 연료의 성질을 직접 확인함으로 보다 창의적인 기초지식이 될 수 있도록 학습한다. 유체실험 Fluid Experiment 각종 펌프 및 수차, 압축기 등 다양한 유체 기계들에 대한 실험을 통해 유체역학의 기본원리인 질량보존, 운동량보존, 유량측정, 에너지보존의 법칙 등이 어떻게 이용되는지에 대한 이해를 돕게 될 것이다. CAE실습Computer Aided Engineering 재료역학 및 기계설계 교과목에서 배운 이론적인 해법에서 탈피하여 컴퓨터를 이용한 유한 요소해석 및 설계를 시도한다. 이를 위해 학생들은 오로지 컴퓨터를 이용하여 대상 물체를 CAD작업으로 구현만을 하면 컴퓨터가 자동으로 해석을 하며 이에 대한 해석 결과를 도시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이론적인 해법과 비교를 한다. 본 실습과목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는 UG와 SolidWorks를 사용한다. 공조냉동실험 Air 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Laboratory 열역학에 기반을 둔 응용분야로 공조냉동장치의 구성기기를 설계, 제작 및 효율적인 운전방법 등을 제시하고, 공조냉동의 기초이론인 냉동사이클의 원리와 종류 및 성능특성을 배우고, 냉동기기인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및 팽창밸브 등의 기본 원리, 냉매의 종류와 특성, 대체냉매 등을 익히며, 쾌적한 환경 조성을 위한 공기조화와 관련된 실습을 한다. 동력전달실습 재료의 인장, 경도, 굽힘, 비틀림 시험 등에 관한 재료의 기계적 거동을 이해하도록 하며, 다양한 동력전달장치의 이해와 계측실험을 통한 기계장비의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실습을 통하여 창의적인 기계장비 보전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기계응용가공 공작기계에 대한 기초이론을 바탕으로 각종 자동화기계와 범용공작기계의 작동법 및 가공법을 실습하고, 가공에 필요한 각종 공구 및 측정기의 사용법에 대한 이해와 현장작업 시 주의해야 할 안전사고의 예방과 작업지시법 등 현장관리자로서 갖추어야 할 부문에 대하여 익힐 수 있도록 한다.